본문
오스카 와일드, 앙드레 지드에 비견되는
러시아 퀴어문학의 고전
퀴어문학 출판사 큐큐에서 미하일 쿠즈민의 ≪날개≫를 출간했다. 큐큐에서 출간된 퀴어 작가들의 사랑 시집 ≪우리가 키스하게 놔둬요≫로 연작시 「알렉산드리아의 노래」 중 한 편이 소개된 적은 있지만, 쿠즈민의 소설이 국내에 소개되기는 처음이다. 「알렉산드리아의 노래」와 ≪날개≫ 모두 작가의 대표작이자 퀴어라는 정체성을 전면으로 내세운 작품들이기에, 큐큐에서 러시아 문학 전공자의 원전 번역으로 한국 독자들에게 소개하는 것은 뜻깊다 할 수 있다.
≪날개≫는 러시아어로 쓰인 최초의 퀴어 소설이기도 하다. 지방 소도시 출신 소년이 대도시인 페테르부르크로 올라와 성 정체성을 깨닫는다는,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소재로 쓴 이 소설은 20기 초 러시아 사회에 열띤 토론을 불러일으켰다. 문예지 ≪천칭자리≫는 한 호 전체를 ≪날개≫에 할애할 정도였다. 그러나 러시아의 성 소수자 청년들에게 열광적인 지지를 받은 한편 외설적이라는 비판이 따라오기도 했다. 흔한 성애 묘사 하나 없이 대화와 정황을 통한 암시에만 그쳤음에도 파문이 일었다는 것은 그만큼 당시 사회가 경직되어 있었다는 뜻일 테다. 그래서일까, 쿠즈민은 소설 발표 후 적잖은 성 소수자 청년들에게 감사의 표시를 받았다고 한다. 일반 대중은 ≪날개≫에서 당시 러시아 게이 사회의 성 풍속에 주목했다면, 당사자인 게이 청년들은 삶의 아름다움에의 초대를 발견한 것이다. 억압적인 사회 분위기에서 자기 자신을 온전히 받아들이기가 힘든 성 소수자들에게 바냐라는 평범하디 평범한 소년이 스스로도 몰랐던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고 크게 한 발 내디디며 끝나는 이 소설은 많은 게이 청년들에게 용기를 주었을 것이다.
≪날개≫는 오스카 와일드, 앙드레 지드, 프루스트의 작품들과 비견되었으며, 오히려 그들의 작품이 가진 한계를 뛰어넘는다는 평가까지 받은 바 있다. 대다수 퀴어 소설에서 주인공이 방황 끝에 파멸을 맞이하는 것과 달리, ≪날개≫의 바냐는 자기 정체성의 발견에 머물지 않고 그다음을 향해 나아가는, 미래를 향한 가능성을 보여준 주인공이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퀴어 소설이라는 틀에 갇혀서만 바라보지 않아도 될 만큼 ≪날개≫는 아름다운 성장 소설이기도 하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
197출판사롤러코스터(2020(2018))ISBN 9791196874902‘남자가 멸종한 세계’라는 기발한 설정으로 인스타그램에 연재되며 20~30대 여성들의 폭발적 반응을 얻은 페미니즘 그래픽노블. 연재 당시 평균 3만~4만 개, 최고 11만여 개의 ‘좋아요’와 1000여 개의 댓글이 달렸고, 현재 저자의 팔로워는 23만…
-
196출판사계몽사(1997 (1914))『모리스』는 영국 중산층의 한 평범한 젊은이가 자신의 성적 정체성과 행복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소설이다. 퍼블릭 스쿨을 졸업하고 어머니의 기대대로 케임브리지에 입학한 모리스는 클라이브를 만나 사랑에 빠지고 이 관계 때문에 두 사람은 퇴학당한다. 클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