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프로이센 장교 (The Prussian Officer)/원제: 명예와 무기
출판사창작과비평사 / 1991(1914)
<목사의 딸들> 수록.
1913 집필된 이 단편소설의 원제목은 명예와 무기(Honour and Arms)였으며, 개작을 거쳐 1914년 8월 <잉글리시 리뷰>지에 (일부 삭제된 채) 발표되었다. 이후 삭제된 부분을 복원하고 수정을 가하여 단편집에 넣었는데, 편집자가 작가의 승인 없이 제목을 <프로이쎈 장교>(The Prussian Officer)로 바꾸고 단행본의 표제로 삼기까지 했다. 이는 1차 세계대전이 터진 시점에서 독일(특히 군국 프로이쎈)에 대한 국민적 반감을 의식한 상업주의적 의도가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주인공은 엄중한 성격의 프로이센 출신의 대위로, 자신의 옆에서 보조하는 젊은 당번병에게 질투 섞인 성적 욕망을 느끼는 인물이다. 동성애적 감정을 대위 스스로도 인정하려 하지 않으며 오히려 가혹 행위를 가한다. 이에 당번병 역시 대위에게 미움과 애증을 가지며, 둘 사이의 기묘한 적대 관계가 정점을 찍으며 돌이킬 수 없는 결말로 치닫게 된다. 두 인물의 관계를 이처럼 설정한 이유는 원작 제목인 <명예와 무기>가 시사하는대로 억압적 인간형을 탐구하기 위해서로 보인다. [책 뒤에 실린 백낙청 해설 수정발췌]
* 전지적퀴어시점 리뷰 보러가기: 공간으로의 편입, 공간으로부터의 탈출 - D. H. 로렌스, 「프로이쎈 장교」
-
212출판사스포츠서울(1992 (1990))?*표지는 2018년 알마판 <내 삶을 구하지 못한 친구에게>?HIV 양성자인 화자의 자전적 소설로, 제목에서처럼 자신의 몇몇 친구들에 대해 언급하는데, 그 중 HIV 감염으로 인해 사망한 미셸 푸코가 등장한다. 국내에 번역 및 소개되는 과…
-
211출판사박영사(1975(1596))※ 표지는 2017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판. 잔혹한 고리대금업자 샤일록과의 재판에서 통쾌한 기지를 발휘한 안토니오와 그 친구들의 이야기. 애정과 결혼을 포기하고, 심지어는 목숨까지 내놓으며 서로를 사랑하려는 남성들 간의 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