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역사에 의해 부당한 대우를 받았던 한 여성의 인간적 권위를 되살리다!
탈식민주의 문학의 거장으로서 카리브해 문화와 정치에 영향을 끼친 2018 대안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마리즈 콩데의 대표작 『나, 티투바, 세일럼의 검은 마녀』. 17세기 말 미국의 작은 마을 세일럼에서 마녀로 몰렸던 흑인 여성 노예 티투바의 삶을 그린 소설로, 포스트콜로니얼 페미니즘 담론이자 디아스포라 문학으로서 의미 있는 작품이다. 역사 속 한 줄 기록으로만 남아 있는 인물에게 유사 영웅 서사적 면모를 부여하는 이 다시 쓰기는 대안 역사 내러티브의 형식을 띠며, 여성, 흑인, 유태인 등 타자-소수자들과의 관계를 통해 인간적 연대와 공감의 희망을 보여준다.
소설에는 당대 사회에 맞서 티투바와 연대하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먼저 티투바의 어머니 아베나, 양아버지 야오와 티투바를 초자연적 힘에 입문시킨 만 야야가 있다. 인종주의에 희생된 이들은 보이지 않는 초월적 존재로, 순수한 인간애와 연민을 티투바의 마음에 심어줌으로써 함께한다.
성서와 증오를 기반으로 한 편협하고 잔인하며 위선적인 백인 세계, 가부장적 세계를 대표하는 패리스 목사는 도처에서 악을 보기 때문에 악을 만들어내는 인물이다. 그에 대항해 잠시나마 우정과 연대로 맺어졌던 패리스 목사 부인은 인종차별과 계급갈등으로 인해 결국 티투바를 배신한다. 세일럼의 감옥에서 만난, 《주홍 글자》의 주인공이자 당대 사상에 반하는 반항적 인물인 페미니스트 헤스터는 티투바에게 새로운 각성의 계기를 마련해주지만, 스스로 목을 매 자살하는 비극적 결말을 맞이한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주의: 신체적/언어적 폭력,성폭력, 낙태, 살인 및 동물 살해가 묘사되어 있습니다.. 성인과 청소년 간의 성적 관계 및 근친상간적 관계가 묘사되어 있습니다.
-
272출판사인화(1997 (1924))동굴여행을 떠난 인도인 의사 아지즈와 합리적인 성격의 소유자 영국인 필딩을 비롯해 이들 일행의 오해와 우정 등을 통해 문명 발상지의 하나인 인도와 지배자 인 영국 간의 이질적 문화의 대립을 분석하고 그 대립의 해결을 모색했다는 평을 받았다. 아지즈와 …
-
271출판사민음사(2021(1989))ISBN 9788937417771[무민] 시리즈, 『여름의 책』의 작가토베 얀손의 자전적 장편 소설너무나 다르지만 결국 하나일 수밖에 없는 두 사람의 사랑 그리고 예술50여 개국,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기록적 베스트셀러 자리에 오른 [무민 시리즈]의 작가이자 오래도록 전 세계인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