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두 남자의 사랑과 이별을 밀도 있게 그려낸 퀴어 소설!
두 남자의 아름답고도 슬픈 사랑을 그린 데일 펙의 동성애 소설『마틴과 존』. 1993년 스물다섯의 나이에 처음 발표한 이 작품으로 구겐하임 상을 받은 작가는 동성애를 넘어서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사랑과 이별 이야기를 그려내었다. 마틴과 존의 절박한 사랑과, 연인을 에이즈로 떠나보내야 하는 아픔을 서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마틴이 에이즈로 죽은 지 1년, 존은 자신과 마틴의 이야기를 매일 쓴다. 존의 이야기는 마틴을 만나기 전과 후로 구분된다. 마틴을 만나기 전의 존은 결손가정의 외로운 소년이었다. 그는 어머니가 죽은 후 성정체성에 혼란을 일으키는 아버지, 자신이 있든 말든 어머니와 관계를 맺는 아버지, 혹은 어머니가 죽은 후 곧바로 재혼을 하는 아버지 밑에서 자란다.
이런 존에게 마틴은 특별한 존재로 다가온다. 그들은 서로를 의지하고 서로의 상처를 보듬어준다. 그들은 열여섯 살 소년으로 만나 애틋한 첫 키스를 하고, 스무 살 청년으로 만나 격렬한 사랑을 나누며, 양아버지와 아들로 만나 비밀스러운 관계를 공유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 어떤 만남에서도 두 사람의 사랑은 축복받지 못하는데….
☞ 작품 조금 더 살펴보기!
이 소설은 각 장에서 다른 배경과 다른 인물들이 등장해 독립된 이야기를 풀어놓는 독특한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두 주인공의 이름은 항상 마틴과 존이다. 각 이야기들은 개별적으로 끝나지 않고 마지막에 하나의 결말로 합쳐진다. 동성을 사랑한다는 이유로 사회의 질타와 비난을 감수해야 하는 두 남자의 아픔이 작품 전체를 이끌어나가지만,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사랑의 아픔과 희열을 그려내고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
272출판사문학과지성사(2010(1966))정상적인 사랑은 모두 슬프고 병적이다 추한 것들을 끄집어내어 정형화된 상식을 공격하는 브라질 작가 네우송 호드리게스의 소설 『결혼식 전날 생긴 일』. 도시를 장악해가는 빈민촌과 중산층의 좌절, 무력한 정치가 펼쳐놓은 무대 위에서 벌어지는 계급…
-
271출판사새터(1992(1795))양성애자 생땅주 부인은 우연한 계기로 레즈비언 성향을 보이는 으제니를 만나서 호감을 가지고 그녀를 조교 시키고자 한다. 친동생이자 섹스파트너 기사 미르벨의 소개로 돌망세씨를 포섭하는 등 성교에 관한 묘사와 탐구를 한다. 돌망세의 동성애 취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