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숙녀들의 사회(The Dead Ladies Project) > 국외 퀴어문학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국외 퀴어문학

본문

밴드로 보내기 네이버로 보내기
죽은 숙녀들의 사회(The Dead Ladies Project)
저    자 제사 크리스핀(Jessa Crispin)/박다솜 역
장    르 장편소설
출판사창비 / 2018(2015)

가지고 있는 짐을 과감히 내팽개친 후 기꺼이 새로운 길을 찾아 나선 아홉 명의 예술가!

서른 살, 자신의 인생이 바닥에 떨어졌다고 생각하여 자살을 시도하고 그마저 실패하자 유럽으로 떠난 문학잡지 편집장이자 서평가 제사 크리스핀. 유럽의 아홉 개 도시를 여행하면서 세상에 맞서 탈주하고 방랑한 여성들과 스스로를 구속하고 억압하는 남성성과 싸워야 했던 남성들을 ‘죽은 숙녀들’이라 일컫고 그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그들이 어떻게 그 시간을 견뎠고 어떻게 어둠 속에서 헤어 나왔는지를 탐구했고, 이 책 『죽은 숙녀들의 사회』에서 각 도시에 머물렀던 아홉 명의 예술가들을 소개한다.

문단 권력에 초대받지 못한 변방의 시골 여자였지만 《리틀 리뷰》를 창간하여 T. S. 엘리엇, 제임스 조이스 등 20세기의 주요 작가들을 배출해낸 마거릿 앤더슨이 머물던 남프랑스, 두 차례의 세계대전 사이, ‘신여성 시대’를 살며 학교를 마치기 위해 작가 진 리스가 머물렀던 런던, 동성애자임을 숨기고 사회적 질타를 피하기 위해 선택한 결혼으로 평생 고통 받았던 서머싯 몸이 스파이 임무로 유일하게 아내로부터 도망칠 수 있었던 짧은 순간을 보낸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세상으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혹은 세상에 맞서기 위해 각자 아홉 개의 도시로 떠났던 예술가들의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다.

예술가들의 전기, 예리한 문학적 분석, 저자의 개인적 체험을 삶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과 유려한 문장, 조금 삐딱하지만 더없이 진솔한 시선으로 버무린 이 여정을 통해 고독하지만 위대한 저항을 해낸 ‘죽은 숙녀들’의 모습을 살펴보며 이를 통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나름의 해답을 얻을 수 있다. 저자가 말하는 아름다운 실패를 이해하고 숙녀들의 방황에 동참하여 스스로의 삶을 일으켜 세울 수 있는 힘을 얻게 될 것이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 452
    저    자틸리 월든 (Tillie Walden)
    장    르 그래픽노블
    출판사이숲(2020(2018))
     ISBN  9791186921937
    우주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젊은이들의 사랑과 모험, 그리고 삶의 의미그래픽 노블 분야의 떠오르는 샛별, 젊은 나이에 아이스너상과 이그나츠상 등 권위 있는 상을 여럿 거머쥔 작가 틸리 월든의 신작으로 광활한 우주를 배경으로 사랑과 모험, 삶의 의미를 묻는…
  • 451
    저    자팻 콘로이(Pat Conroy) / 안진환 역
    장    르 장편소설
    출판사생각의나무(2009(2009))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를 배경으로, 인종과 계층이 다른 친구들이 나누는 사랑과 우정을 그리고 있다.  1969년, 열여덟의 레오폴드는 다량의 마약을 소지한 죄로 보호관찰을 받으며 봉사 활동을 하게 된다. 어린 시절 형의 자살 장면을 목…

이메일 : rainbowbookmark@hotmail.com   |   트위터 : @rainbowbookm 후원계좌 : 국민은행 061701-04-278263   |   예금주 : 이다현(무지개책갈피)
Copyright © 2018 무지개책갈피.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