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낭만적 사랑의 이상을 전복하는 ‘밤’의 이야기
퀴어문학의 위대한 고전 『나이트우드』
시인 중의 시인으로서 T. S. 엘리엇은 『나이트우드』에 대해 “훌륭하게 발휘된 스타일, 아름다운 문구, 번뜩이는 재치와 인물구현에 더해 엘리자베스여왕 시대의 비극을 연상시키는 공포와 비운을 모두 갖춘 작품”이자“너무나 좋은 소설이기 때문에 시로 훈련된 감수성만이 그것을 온전히 감상할 수 있다”라고 극찬했다. 하지만 편집자로서 엘리엇은 당대의 검열을 의식할 수밖에 없었고, 출판할 수 있는 레즈비언 소설이 되도록 일부 단어 단위에서부터 세 페이지에 이르는 단락들 단위까지 상당 부분을 잘라냈다. 60년 동안 『나이트우드』는 엘리엇이 당대 기준에 맞추어 편집한 판본으로 읽혔다. 1995년에 이르러서야 연구자 셰릴 J. 플럼이 복원한 판본이 출간되어 주나 반스의 초고와 엘리엇의 편집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게 되었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은 복원된 판본을 번역 저본으로 삼았다.
시대를 앞서간 반스의 대담함은 주변화된 성적 주체들을 전경으로 끌어내는 데 그치지 않고, ‘도착(倒錯)’이라는 개념을 텍스트를 구성하는 원리로 활용해서 밤과 낮, 아름다움과 추함, 정상과 비정상 등으로 분류하는 이원론의 가치체계를 적극적으로 심문한다는 데 있다. 『나이트우드』가 전개하는 이 도착의 서사는 급진적인 퀴어의 정치를 선구적으로 수행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_작품해설 중에서
『나이트우드』는 ‘소년의 몸을 지닌 소녀’ 같은 로빈 보트를 중심으로 그와의 관계에서 파탄을 맞는 인물들인 남편 펠릭스 남작과 아들 기도, 로빈을 갈망한 노라 플러드와 제니 페더브리지 그리고 여장을 즐기는 무면허 산부인과의 매슈 오코너의 이야기이다. 이는 펠릭스의 출생 장면에서부터 시작된다. 부친은 상업으로 돈을 모아 오스트리아 귀족 가문을 사칭하며, 쉰아홉 나이에 아들을 고대하던, 임부처럼 배가 둥근 몸집의 유대인, 모친은 남편을 압도하는 군인 같은 성정과 체구를 지닌 마흔다섯 살의 기독교도였다.
1880년에 태어난 그는 자신의 세대를 “붙들 것이 남아 있지 않은 세대, 정확히 말하자면 붙들 방도가 전무한 세대”라 규정하고 미래를 위해 ‘구유럽’으로 상징되는 과거에 집착하며 이 과거를 이어받을 아들을 얻고자 로빈 보트에게 청혼한다. 미래를 향한 그의 모든 노력은 실패가 예정되어 있다. 부모가 그러했고, 서커스가 벌어지는 세계에서 그가 만나는 여성은 공중 곡예사인 프라우 만(독일어로 Frau는 여성, Mann은 남성을 뜻한다) 그리고 잠과 깸 사이 움직임과 정지 상태 사이에서 살아가는 ‘밤 짐승’ 로빈 보트였으니.
『나이트우드』를 전기적 사실에 근거해 읽는다면, 로빈과 노라 그리고 이들 사이에 끼어든 ‘점거자’이자 약탈자 제니는 주나 반스와 셀마 우드의 서사를 반영한 듯도 하다. 하지만 이 소설은 이러한 관계 사이에 코러스 격인 인물 매슈 오코너를 배치함으로써 자전적 경향을 뛰어넘어 모더니즘의 문제작이자 퀴어문학으로서의 선구적 위상을 점하게 되었다. 젠더퀴어인 오코너는 태생적으로 여성의 몸을 얻지 못한 자신을 애도하며 살아가는 인물로, ‘불멸의 한 형태’인 ‘습관’을 깨는 이에게 가해지는 세간의 책망을 인지하고도 탈관습적인 언어를 구사한다. “난 개인적으로 하느님을 ‘그녀’라고 부르는데, 그건 신이 날 이런 모습으로 빚어낸 때문이죠. ‘그녀’라 호칭하면 어쩐지 그 실수가 만회되는 것 같아요.”
이러한 그의 언어는 작가가 시도한 가치 전복을 구현한다. 그는 부인과 의사이나 권한을 얻지 못한 ‘무면허’ 의사이고, 화롯가에서 요리하고 아이를 낳는 삶을 바라나 실상 한밤중 공중변소를 기웃거리며 임을 찾는 통렬한 비애를 안고도 펠릭스와 노라가 겪는 고통과 상실감에 마음을 기울이는, “이 세상에 남은 마지막 여자”라 할 수 있다. 이 소설의 중심인물인 로빈은 여성성에 대한 통념을 뒤흔들고, 나아가 특정한 대상을 향한 애착 관계를 이상화하는 사랑의 관념과 감각적·정서적 쾌락의 가치에 의문을 제기한다. 로빈은 펠릭스가 청혼하자 ‘제 인생에 거절 의지란 전무한 듯 수락’하고는 이후 육신은 교회와 거리를 헤매고 영혼은 안나 카레니나와 캐서린 히스클리프 또는 역사 속 여인들에게로 향하더니 결국 갓난아이를 두고 집을 떠난다.
하지만 이후로도 노라나 제니 누구의 곁에도 정착하지 않는다. ‘결코 사랑의 대상이기를 그칠 수 없었’던 로빈은 여러 인물들의 욕망을 불러일으키는 서사의 중심이면서도 자신의 존재를 스스로 언어화하지 않고 서사에서 사라졌다가 마지막에 이르러 노라 앞에 모습을 드러낸다. 흡사 개를 닮은 충격적인 자세로. 『나이트우드』는 결국 그 제목에서 시사되듯 ‘밤’의 이야기이다.
밤은 초현실적인 장소처럼 보이지만 그저 환상의 공간에 불과한 것은 아니다. 밤은 규범의 억압적 장력을 뚫고 나오는 실재의 공간으로, 낮이 주변화하고 배제하는 음란함과 비루함을 비롯해 온갖 탈규범적 존재의 양태를 전면에 드러냄으로써 도리어 ‘정상성’이 곧 보편이라는 일상화된 관념이 환상임을 보여준다. 그래서 이 밤의 시공간은 해방적인 동시에 위협적이다. 길들여지지 않는 욕망이 지배하는 이곳은 쾌락보다는 고통과 상실의 시공간이며, 상처 입은 인물들은 이곳에서 영원한 멜랑콜리의 정서를 공유한다. _작품해설 중에서
잠들어 있는 순간에조차 사람의 정체부터 바꿔놓는다는 밤. 그리하여 “나는 기이한 것으로부터 사랑을 받았고, 이제 그게 나를 잊었”기에 태어난 이야기이다.[예스24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