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고고보이
출판사어패류 / 2019
한계는 시와 평론을 공부하고 있으며 매력적인 페르소나, 인격을 통해 동시대의 분신이자 상징을 표현하는 작가입니다. 전작 『마마보이』에서는 아이 같은 화자를 내세워 스쳐 지나가는 순간, 그때 놓쳐버린 기억을 붙잡아 글과 그림으로 기록하고자 했습니다.
반면, 『고고보이』의 화자는 자신을 성심성의껏 가꾸고 드러내야 하는 현대인의 표상이자 생활 공간에서 역할극을 수행하는 캐릭터입니다. 고고보이는 주로 게이 클럽에서 스트립쇼를 하는 댄서를 뜻합니다. 인기를 얻기 위해선 관객이 좋아하는 몸과 몸짓을 만들어야 하죠. 이러한 고고보이의 모습에서 작가는 특히 예술가의 고뇌를 읽어냅니다. 화자가 원하는 건 전무후무한 고고보이가 되는 거예요. 다른 고고보이를 모두 식상하게 만들 만한. 하지만 새로운 무대를 시도하면 인기 없는 고고보이로 전락하거나 고고보이 아닌 존재로 간주될 위험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화자의 불온한 춤은 계속돼요. 이대로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을까요?
[텀블벅 페이지 발췌: https://tumblbug.com/gogoboy]
-
438출판사한겨레출판사(2018)“손가락에 눈이 생겼을 때는 어떤 병원에 가야 할까?” 슬로베니아에 사는 소설가가 보내온 사랑스러운 퀴어 성장 판타지슬로베니아의 수도 류블랴나 대학교에서 한국문학을 가르치는 소설가 강병융의 네 번째 장편소설 《손가락이 간질간질》이 출간되었다. 희대의 …
-
437출판사인문사(1939(발표))* 책표지: 1946년 범문사 발행판 1939년 9월 《인문사》에서 발표된 장편소설이다. 단편 《돈(豚)》과 더불어 작가의 에로티시즘을 대표하는 문학작품이다. 세 남성과 세 여성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애정의 갈등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작품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