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풍경 > 국내 퀴어문학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국내 퀴어문학

본문

밴드로 보내기 네이버로 보내기
소소한 풍경
저    자박범신
장    르 장편소설
출판사자음과모음 / 2014

ㄱ은 어느 날 낡은 다세대주택 앞에서 물구나무서기를 하는 ㄴ을 발견한다. 그는 집주인에게 억울하게 내쫓긴 세입자로 자신의 몸속에 남아 있는 힘을 모조리 빼내기 위해서 하루 종일 물구나무서기를 하고 있다. "죽고 싶으세요? 물구나무서기론 절대 안 죽어요!" 혼자 사는 ㄱ은 ㄴ을 자신의 집에 머무르게 한다. 커다란 더플백 하나를 짊어지고 들어온 ㄴ은 언제든 곧 떠날 것 같은 모습이다. 그러다 그들은 서로의 존재가 자신에게 알 수 없는 만족을 준다는 것을 깨닫는다. "둘이 사니 더 좋네!"
어느 날, 농기구점에 들른 둘은 삽 세 자루를 사서 집으로 돌아온다. 그날부터 ㄴ은 ㄱ의 집 뒤란에 우물을 파기 시작한다. 여자는 우물이라고 하고, 남자는 샘이라고 했다. 샘을 판다는 것은 ㄴ이 한동안 ㄱ의 집을 떠나지 않으리라는 것을 의미했다.
ㄷ이 그들이 사는 곳에 온 것은 우물이 완성될 즈음이었다. ㄴ은 어린 그녀를 처음 보자마자 ㄱ의 집에 들이면 안 될 것이라고 예감한다. 하지만 ㄱ는 ㄴ의 뜻을 거부한다. ㄷ은 자신에게 마음을 연 ㄱ의 집에서 스스럼없이 자리를 잡아간다. ㄷ이 먼저 마음을 붙인 것은 ㄱ이었다. 그리고 얼마 후 ㄴ도 ㄷ에게 마음을 열기 시작한다. ㄱ와 ㄴ, ㄴ와 ㄷ, ㄱ과 ㄴ, ㄷ은 마치 ‘덩어리지듯’ 서로에게 뒤섞여든다. "셋이 사는 것도 참 좋네!"
ㄴ의 우물 파기가 완성된 날, ㄱ과 ㄴ, ㄷ은 우물에서 나오는 첫 물을 마시며 밤을 보낸다.
다음 날 아침, ㄱ은 우물 앞에 앉은 ㄴ을 발견한다. 그는 우물 안을 뚫어져라 쳐다보고 있다. 그의 등으로 햇빛이 산란했다. 그리고 어느 순간, 흰색 블라우스를 입은 ㄷ이 ㄴ이 사라진 자리에 남아 있었다.
형사는 ㄱ의 집터에서 발견된 남자의 데스마스크에 관해 추궁했다. 그 데스마스크는 일반적인 경우인 석고가 아닌 시멘트로 만들어진 것이었다. 다른 데스마스크들이 죽음의 고통으로 표정이 일그러져 있는 반면 이 데스마스크의 표정은 담담했다.
ㄱ은 대학 시절 [우물]이라는 제목의 소설을 썼다. 그녀의 동료들은 "이게 소설인지 잘 모르겠어요"라고 악평했지만, ‘선생님’만은 몽환적인 그 소설이 지닌 힘을 감지했다. 그리고 아주 오랜 시간이 흐른 후, 선생님은 ㄱ이 걸어온 전화를 받는다. "시멘트로 뜬 데스마스크 보셨어요?"
ㄱ에게 ㄴ은 언제나 물구나무를 서는 남자, 우물을 파는 남자였을 뿐이다.

[인터파크도서 제공]

 

 

* 전지적퀴어시점 리뷰 보러가기: 덩어리진 기이함 속의 퀴어 - 박범신, <소소한 풍경>






  • 438
    저    자황정은
    장    르 장편소설
    출판사창비(2014)
    무기력증을 앓는 미혼모 슬하에서 방치되다시피 자란 '소라'와 '나나' 자매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생을 계속해보겠다며 고백조로 풀어가는 이야기로 자매를 먹여 키운 옆집 아줌마의 아들 '나기'가 게이로 등장한다. 주인공 자매와 '나기'에게서 대안 가족…
  • 437
    저    자호영송
    장    르 단편소설
    출판사현대문학(1992)
     <현대문학> 92년 2월호에 수록된 단편소설 소설이 안 써지는 병에 걸려 시름에 빠진 지상은 이상한 카페에 들어가서 남정호라는 극작가를 만나 하룻밤을 보낸다. 약간의 혼란 끝에 그를 다시 만난 지상은 이전과는 전…

이메일 : rainbowbookmark@hotmail.com   |   트위터 : @rainbowbookm 후원계좌 : 국민은행 061701-04-278263   |   예금주 : 이다현(무지개책갈피)
Copyright © 2018 무지개책갈피.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