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마마보이
출판사TXTTXTTXT / 2017
한계의 첫 시집 『마마보이』.
한계는 스쳐 지나가는 어떤 순간, 쉽게 놓쳐버리는 어떤 기억들을 붙잡아 글과 그림을 남겼다.
"나한테만 소중하고 아름다운 것들이 점점 불쌍해졌다. 내가 나를 떠나고 나서부턴 집으로 가져오지도, 바닥에서 찾아내지도 못했다." (서문 중)
"우리를 경계 짓는 것은 결국 언어일 것이다. 우리는 우리를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부르며, 심지어 우리 자신의 일부나 보이지 않는 것들에도 이름을 지어주고 그 경계를 세우고자 한다. 주로 철학자들이나 과학자들이 오랜 시간 공들여 온 이 작업은 정말로 성공했을까? 한계의 시는 어린아이들이 아직 배우지 않은 예절을 따르지 않는 것처럼, 오래 쌓아올린 그 경계들을 가볍게 무시한다. 그가 시를 통해 그리는 세계는 뭐라 이름 지을 수 없는 모호한 감정이 환기되고 애매한 상황이 연출된다. 우리가 그의 시를 읽으며 마주하는 어떤 욕망을 정말 욕망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그것은 결국 자조가 아닐까? 그것은 체념일 수도 있지 않을까? 이러한 물음들은 결국 욕망이나 자조, 체념이라는 단어들을 무너뜨린다. 사실 우리는 어떤 순간에 욕망만 하거나, 자조만 하거나, 체념만 하지 않기에 어떤 순간의 복합적인 감정은 결코 그러한 단어들로 분리되지 않는다. 개념화되고 대상화되기를 거부하는 한계의 세계는 결국 한계, 즉 저자만을 가리킨다. 시를 통해 만난 것은 어떤 단어가 아닌 한계라는 한 사람이었기에, 어떤 형용사도 붙일 수 없어 작가의 이름만을 부제에 덧대어본다." (출판사 서평)
-
108출판사Apuro Press(2016)게이 독립잡지 <DUIRO> 창간호 [군대] 편에 수록된 단편소설. “저 남자 좋아합니다.”“그래. 그럼 남자 좋아하는 곳으로… 켁. 뭐, 뭐라꼬?”“제가 드린 말씀은 여자를 안 밝힌다는 게 아니라 여자를 사랑하지 않는다는…
-
107출판사민음사(2018)2013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며 등단한 소설가 김개영의 첫 소설집 『거울 사원』이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표제작 「거울 사원」의 ‘그’와 동성애자 파키스탄인 ‘아자즈’는 어디에도 소속되지 못한 서로의 처지에 옅은 동질감을 느끼지만 결국 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