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마음이 옅은 자여
출판사창조 / 1920
1920년 《창조》 2호에 발표된 작품이다. 편지를 통한 고백체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백체 형식은 이 작품 이전에 이광수가 《어린 벗에게》에서 전면적으로 시도했던 형식이다. 그러나 김동인의 이 작품은 더욱 본격적인 고백체 형식이라는 점에서 소설사적(小說史的)인 의미를 갖는다.
형님―
마침내 고백한 날이 왔습니다.
언제든지 형에게 직접으로나 혹은 편지로 '무슨 번민이 있거든 내게 다 말하라'하셨지만, 저는 종래 못하였어요.
이렇게 시작되는 이 작품은 주인공 K가 C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되어 있다. 내용은 3부로 구성되는데, 제1부는 작품의 서두를 이루는 부분으로, K가 C에게 보내는 9월 21일자 편지이다. 이 속에는 4월 6일부터 9월 20일까지의 K의 일기가 담겨 있으며, 서울에 있는 C의 친구 K가 그의 고민을 드러내는 고백체 형식을 취한다.
모두 13장으로 구성된 제2부는 K와 C가 함께 여행을 다니는 내용으로서, 마지막 제13장이 짤막한 편지 형식을 취한 것을 제외하고는 일반 소설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부 격인 편지들보다 분량도 적다.
[네이버 지식백과] 마음이 옅은 자여 (두산백과)
-
183출판사알마(2020)ISBN 9791159923234흙에서 길어 올린 사랑의 흔적마음을 두드리는 다채로운 사랑의 색깔가장 최전선의 이야기를 가장 따뜻하게 전하는소설가 김한아의 네 가지 사랑 이야기십 대의 시선으로 다양한 사랑의 형태를 편견 없이 따뜻하게 풀어내는 김한아의 소설집 『사랑을 말할 때 우리는…
-
182출판사창비(2021)ISBN 9772508669003『문학3』 13호 수록작. 코로나-19 이후 해외여행이 금지된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홍콩으로 '가상 투어'를 떠나는 게이 커플의 이야기를 그린다. 작품은 이 가상 투어를 (몫 없는 자의) '혁명'이라는 주제와 접속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