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제2회 육우당 문학상 수상작품집으로 배주호의 어느 교실의 풍경, 김민수의 2009.4.18. 19:50 - 2009.11.30. 01:42, 강요한의 거리에서, 양진솔의 그렇게 우리의 시간은 익지 못했다., 박선용의 다리에서의 크리스마스, 비로의 물감옥이 선정되었다.
배주호 <어느 교실의 풍경>: 고3 교실을 배경으로 '나'와 '설'의 짤막한 대화의 단상. 짧은 분량으로 두 사람 사이의 미묘한 분위기를 잘 그려냈다.
김민수 <2009.4.18. 19:50 - 2009.11.30. 01:42> : 게이 청소년이 친구와 주고받는 메신저창의 형식. 신선한 형식 속에 호모포비아적인 학교, 또래문화의 이야기를 풀어냈다.
강요한 <거리에서>, <금지된 겨울이 아직 찾아오지 않은 밤, 너에게>, <불구 놀이> : 감각적인 이미지가 인상적인 시 세 편.
양진솔 <그렇게 우리의 시간은 익지 못했다.> : 고등학교 시절 '나'와 '혜연'은 너무 가깝게 지내 사귄다는 소문이 돌았다. 자연스레 멀어졌다가 이제 대학생이 되어 다시 만난 두 사람. '나'에겐 남자친구가 있지만 '혜연'과 만난 후로 마음이 흔들린다.
박선용 <다리에서의 크리스마스> : 다리 난간을 따라 걸으며 기억을 되짚어본다. 멀게만 느껴졌던 여자친구들, 좋아했던 남자아이, 인터넷에서 검색해본 성소수자 키워드… 자살하려는 한 남자로부터 시작된 이야기는 갑자기 다른 국면으로 전개되며 반전을 준다.
비로 <물감옥> : '나'와 '승현'은 고등학교때 나란히 '남자 같은 여자애'로 통했지만 대학생이 되어 다시 만난 '승현'은 완전히 남자의 모습. 성소수자 동아리 홍보를 하는 '승현'을 보며 '나'는 승현과 함께 바다로 훌쩍 떠났던 옛 기억을 떠올린다. FTM 트랜스젠더 청소년과 그 옆에 선 친구의 물빛 이야기.
-
258출판사창비(2016)최정화 첫 소설집 <지극히 내성적인> 수록.시골에 혼자 사는 '나'(미옥)는 어느날 서울에서 온 작가 '선생님'에게 방을 내어주고 식사를 챙겨주는 일을 하게 된다. 소설은 '나'가 '선생님'과 가까워지는 과정, 처음엔 순수했던 친근…
-
257출판사실천문학사(2006)박철의 첫 소설집 <평행선은 록스에서 만난다> 수록."세상 어디에 우리의 영원한 곳이 있을까. 그대 뒷모습 두려워 내가 먼저 떠납니다. 나 외기러기 외기러기"읽고 있던 소설집 사이에 끼워둔 메모지를 펼쳐둔 채 '그'가 홀연히 떠났다.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