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1917년 《청춘(靑春)》9~11호에 발표전 이광수(李光洙)의 단편소설. 기혼남자인 '나'를 주인공으로서 간체 형식으로 씌어진 작품이다.
나는 와세다대학에 다닐때 사귄 김일홍의 누이인 김일련을 소개받고 열렬히 짝사랑하지만 기혼남자라는 법과 도덕 때문에 거절당한다. 나는 블라디보스토크로 가는 도중 배가 수뢰를 맞고 파선되자 같은배를 탄 김일련을 우연히 만나서 구사일생으로 구조된다. 몇해 전 사실 나는 상해에서 심한 감기로 인사불성이 되었을때에도 김일련에게 간호를 받은 바 있었다. 김일련은 그동안 어느 수재형 대학생과 열렬한 사랑을 하다가 그가 폐병으로 죽은 뒤에 베를린으로 유학가던 길에 조난당한 것이다.
김일련과 나는 소백산의 산림 속을 달리는 기차에 동승하고서 예상할 수 없는 미래를 생각하면서 삶과 자연에 대하여 끓임없이 대화를 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광수의 초기작품인<윤광호(尹光浩)>나 <소년의 비애>가 그렇듯이 <어린 벗에게>도 작가의 신변기를 허구화한 것이다. 작중의 김일련이라는 여성은 신성모(申性模)를 여성화한 것이라고 이광수는 어느 신변기에서 밝힌 바 있다. 1913년 상해에서 망명청년들(홍명희 · 문일평 · 조용은 · 송상순)과 동유하였을 해 감기에 걸린 이광수를 신성모가 지극히 정성을 다하여 간호한 사실이 있다. 이 우정을 소설화한 것이 <어린 벗에게>라고 한다.
소설문장이라기보다는 아직도 관념적인 논설투의 이 소설은 자유연애와 개성의 해방을 주장하고 민족주의 계몽에 대하여 역설하고 있다. 이러한 이광수의 주장은 그의 전 작품에 걸쳐 연속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어린 벗에게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한국사전연구사)
-
288출판사동아일보사(2004)2004 여성동아 장편소설 공모 당선작.미국의 한 소도시를 배경으로 재미한인들의 삶을 그려낸 소설.크로스드레서, 게이, 레즈비언 이야기가 주요 소재로 등장한다.
-
287출판사-(2022)"죽음 곁에서 살아가는 모두가, 서로 이어지며 봄의 길을 찾는 이야기"여성과 퀴어와 동물이 너무도 쉽게 죽는 사회에서, 그 폭력을 넘어선 상상의 세계를 그렸습니다. 책 속의 인물들은 모두 봄의 세계에서 살아가고자 하나 그 옆에는 현실의 겨울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