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자음과 모음》 2018년 봄호 수록작.
"이 소설의 화자인 '나'는 레즈비언인 20대 여대생이다. '나'는 자신이 '유파고'라고 부르는 건축과 교수 남성에게 메일을 보내며 무언가를 고백하겠다고 한다. (그녀는 메일에서 '선생님'이라는 단어를 '유파고'로, '아버지'라는 단어를 '줄파추'로 바꾸어 쓴다.) 첫째로 그녀가 고백하려는 것은 자신이 세 살 때부터 자위를 시작했다는 사실이다. '나'는 중년 남성인 '유파고'에게 당신의 다섯 살짜리 딸의 클리토리스를 상상해 본 적이 있느냐고 질문하며, 이런 이야기가 불편하다면 '자위'라는 단어를 '지위'로, '클리토리스'라는 단어를 '클리토리우스'로 바꾸어 쓰겠다고 말한다. 둘째로 그녀가 고백하려는 것은 자신이 맹인학교 학생을 위한 복지관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만난 열여섯 살 여학생인 이테와 있었던 일이다. '나'는 "남다른 신체 발육과 당당한 자세"를 가진 건강하고 밝은 모습의 이테에게 수학을 가르치면서 점점 가까워진다. 어느 날 아파서 수업에 빠진 이테의 집으로 직접 찾아간 '나'는 뜨거운 죽을 옷에 쏟은 이테가 옷을 벗고 몸을 샤워기의 물로 씻는 것을 돕는다. 씻고 나온 뒤 따뜻한 침대 위에 누워 이야기를 나누다가 '나'는 이테에게 자위하는 법을 알려주게 되고, 이테는 "재밌어요. 유파고랑 하니까."라고 말하며 적어도 두 번은 해보고 싶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테가 잠시 잠든 사이 갑작스러운 동정심에 휩싸여 그녀의 클리토리스를 핥는 순간 그 장면을 발각한 이테의 아버지에게 '나'는 고소를 당하고 만다. 이 이야기를 '유파고'에게 고백하면서, '나'는 둘 사이에는 아무런 강요도 없었기 때문에 자신은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고 말한다. 부끄러운 점이 있다면 이테를 동정했었다는 사실뿐이라고 말이다."
출처: 인아영, <답을 주는 소설과 질문하는 소설>, 《문장웹진》 2018년 9월호, https://webzine.munjang.or.kr/archives/142592
-
303출판사에디토리얼(2019)ISBN 9791196350666함께 책을 읽고, 글을 쓰다 한국 SF작가들이 의기투합하여 펴내는 첫 페미니즘 SF단편집 2018년 여름, 폭염과 찜통더위라는 말로는 표현 수위를 구사하기 힘들게 했던 그 무더위는 SF적 디스토피아를 상상하…
-
302출판사-(2022)"죽음 곁에서 살아가는 모두가, 서로 이어지며 봄의 길을 찾는 이야기"여성과 퀴어와 동물이 너무도 쉽게 죽는 사회에서, 그 폭력을 넘어선 상상의 세계를 그렸습니다. 책 속의 인물들은 모두 봄의 세계에서 살아가고자 하나 그 옆에는 현실의 겨울이 있습니다…